
🥇 Qu_signal+ 사용자를 위한 Qu_Flow+
- 빨간박스 안 보조지표
- 시장의 전체 흐름 / 단기 흐름을 판단할 수 있는 보조지표
- Flow Chart는 상단 / 중단 / 하단부 로 나뉨
- 타임프레임의 제한은 없지만, 기존 다이버전스 매매와 같이 메인프레임을 특정하여 매매를 추천
🔋 (녹색선) : (5 33 / 10 66 / 20 1212) 3스토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작성되어, 쌍봉/쌍바닥을 확인하는데 쓰임
➕(크로스) : 기존 (5 33 / 10 66 / 20 1212) 3스토의 골드크로스/데드크로스를 알려줌
🔷(다이아) : DCP기반의 알고리즘으로 작성되어 추세의 전환점을 나타냄
🌈매매의 기본에 대하여🌈
추세의 전환에는 다이버/피날레가 필요함
큰 거래량의 빔형태의 차트가 바로 반대방향으로 갈수는 없음
움직이던 관성을 해소하기 위해 빔이 끝난 후 횡보를 하며 파동을 그림 (이 횡보 도중 적당한 크기의 다이버가 발생하게 됨)
이 관성이 끝날 타이밍과 흐름(Flow)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표
내려가던 공이 기울기가 바뀌어 반대방향으로 굴러가는 흐름을 잡는다는 생각을 하며 매매를 수행
이 공이 멈춰가며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기엔 내 생각보다 더 긴 시간이 필요함🌈🌈
====사용법====
====기본적으로 Qu_signal의 다이버전스를 Base로 활용 추천, Qu_flow로 파동(시장)의 흐름을 판단====
📍0. 메인프레임 특정 및 매매할 프레임 특정하기
📍1. "상단 플로우"
A "상단 플로우"의 녹색 선 쌍천장/쌍바닥을 확인해야 함 (녹색 선을 RSI라 생각하고 캔들과의 다이버전스를 확인 BEST)
B 쌍천장/쌍바닥에서 나오는 크로스 신호 = 흐름이 변하고 있다
C 이때 다이아가 발생하는지 + 아래쪽 "중단 플로우"의 형태는 어떠한지 (과매수/도 인지? 쌍바닥/천장 인지? 등)
D "상단 플로우"로 매매를 수행하기보단 상단 플로우가 중단 플로우와 이어지는 형태를 보는게 좋음
📍2. "중단 플로우"
A 위와 마찬가지로 활용
B "중단 플로우"는 흐름을 판단하기에 가장 강력한 신호로 이루어져 있음
C "상단 플로우"의 쌍봉 + 중단플로우의 쌍봉 + 크로스 신호 + 다이아 신호등이 이어진다면 매매에 적극적으로 참여
📍3. "하단 플로우"
A 위의 매매조건이 성립했을때, "하단 플로우" 또한 원하는 모양의 바로 직전형태인지 확인(BEST)
B "하단 플로우"에서 대놓고 쌍바닥/쌍천장의 형태가 보인다면 타임프레임을 한단계 높이는걸 추천 (메인프레임이 아닐 확률이 있음)
📍4. "2다이아" or "3다이아"
A "상/중/하단 플로우"가 동시에 다이아가 발생하는 경우 강한 추세전환의 신호로 볼 수있음
🥇 "CCD 다이버 발생 시" 🥇
위의 1,2,3,4 항목들과 중첩하여 사용하여 추세를 판단
캔들이 빔을 쏘는 도중 or 관성이 끝나지 않은 도중 반대포지션 진입을 자제합시다
충분히 유연한 곡선으로 그려질 경우 + 다이버가 추가 될 경우 포지션 진입을 하는 매매습관을 들입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저희 차리남은 관점 공유,소통방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1:1 문의 주시면 카카오톡 무료관점방 안내드리겠습니다.
https://open.kakao.com/o/sFxEMZKf
'퀀트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_Flow+ 지표 - 2 (0) | 2023.10.12 |
---|---|
Qu_RSI+ 지표 - 1 (0) | 2023.10.12 |
Qu_RSI+ 지표 - 2 (0) | 2023.10.12 |
Qu_Monic+ 지표 - 1 (0) | 2023.10.11 |
Qu_Monic+ 지표 - 2 (0) | 2023.10.11 |